대수적 위상수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수적 위상수학은 위상 공간을 연구하기 위해 대수적 도구를 사용하는 수학의 한 분야이다. 호모토피, 호몰로지, 코호몰로지 등의 개념을 사용하여 위상 공간의 구조를 파악하고, 공간의 불변량을 찾는다. 주요 연구 분야로는 다양체, 매듭 이론, 복합체 등이 있으며, 브라우어 고정점 정리, 푸앵카레 쌍대성, 자이페르트-판 캄펀 정리 등 다양한 정리가 존재한다. 대수적 위상수학은 브라우어 고정점 정리, 오일러-푸앵카레 지표 계산, 미분 방정식 해의 가해성 조사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수적 위상수학 - 매시 곱
매시 곱은 미분 등급 대수 원소에 대한 연산으로 코호몰로지 곱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위상수학적 불변량을 측정하며, 2항 곱과 3항 곱을 일반화한 형태로 불확정성을 가지지만, 브루니안 링크, 보로메오 고리 연구 및 꼬인 K-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대수적 위상수학 - 톰 공간
톰 공간은 파라콤팩트 공간 위의 벡터 다발을 이용하여 구성되며, 르네 톰에 의해 도입되었고, 톰 동형을 통해 기저 공간의 코호몰로지와 관계를 가지며 특성류 이론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수학 - 회귀 분석
회귀 분석은 종속 변수와 하나 이상의 독립 변수 간의 관계를 모델링하고 분석하는 통계적 기법으로, 최소 제곱법 개발 이후 골턴의 연구로 '회귀' 용어가 도입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예측 및 인과 관계 분석에 활용된다. - 수학 - 수학적 최적화
수학적 최적화는 주어진 집합에서 실수 또는 정수 변수를 갖는 함수의 최댓값이나 최솟값을 찾는 문제로, 변수 종류, 제약 조건, 목적 함수 개수에 따라 다양한 분야로 나뉘며 여러 학문 분야에서 활용된다.
대수적 위상수학 | |
---|---|
학문 분야 | |
학문명 | 대수적 위상수학 |
영어 | Algebraic topology |
개요 | |
설명 | 점별 수렴의 위상 |
관련 연구 | |
연구 논문 | トポロジーとその「応用」の可能性 |
저널 | 응용수리 |
저자 | 후루타 미키오 |
DOI | 10.11540/bjsiam.15.1_49 |
권 | 15 |
호 | 1 |
쪽 | 49–52 |
출판 년도 | 2005 |
2. 대수적 위상수학의 도구
공간의 위상수학적 구조는 다음과 같은 대수적 구조로 나타낼 수 있다.
대수적 위상수학의 이전 명칭은 조합적 위상수학이었으며, 이는 공간 X가 더 간단한 공간으로부터 어떻게 구성되는지에 대한 강조를 의미했다.[2] (이러한 구성을 위한 현대적 표준 도구는 CW 복합체이다.) 1920년대와 1930년대에는 위상 공간을 대수적 군과의 대응 관계를 찾음으로써 조사하는 데 점점 더 중점을 두었고, 이는 명칭을 대수적 위상수학으로 변경하는 결과를 낳았다.[3] 조합적 위상수학이라는 명칭은 때때로 공간의 분해에 기반한 알고리즘적 접근 방식을 강조하기 위해 여전히 사용된다.[4]
대수적 접근 방식에서는 공간과 군 사이의 대응 관계를 찾아 공간의 동형 사상 (또는 더 일반적인 호모토피) 관계를 존중한다. 이를 통해 위상 공간에 대한 명제를 관리 가능한 구조가 많은 군에 대한 명제로 바꿀 수 있으며, 종종 이러한 명제를 증명하기가 더 쉬워진다.
일반적으로 대수적 위상수학의 모든 구성은 함자적이다. 범주, 함자, 자연 변환의 개념이 여기서 유래했다. 기본군, 호몰로지 및 코호몰로지 군은 두 개의 위상동형 공간이 동일한 관련 군을 갖는다는 의미에서 기본 위상 공간의 불변량일 뿐만 아니라, 관련 사상도 일치한다. 즉, 공간의 연속 사상은 관련 군에 대한 군 준동형을 유도하며, 이러한 준동형은 사상의 존재하지 않음(또는 훨씬 더 심오하게 존재함)을 보여주는 데 사용될 수 있다.
1950년대에 새뮤얼 에일렌버그와 노먼 스틴로드는 자연 변환을 갖춘 함자로서 호몰로지 및 코호몰로지를 정의했고, 특정 공리(예: 공간의 약한 동치는 호몰로지 군의 동형 사상으로 전달됨)를 따랐으며, 기존의 모든 (코)호몰로지 이론이 이러한 공리를 만족하는지 확인한 다음, 그러한 공리화가 이론을 고유하게 특징짓는다는 것을 증명했다.
2. 1. 호모토피와 호모토피 군
호모토피와 호모토피 군은 두 위상 공간 사이의 연속 함수를 연속적으로 변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대상이다. 호모토피는 위상 구조보다 더 단순한 호모토피 구조만을 나타낸다. 고차 호모토피 군은 다루기 복잡하지만, 기본군이라고 불리는 1차 호모토피 군은 계산하기가 비교적 쉬우며 널리 쓰인다.[2] 기본군은 위상 공간의 루프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공간의 기본적인 모양과 구멍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3]2. 2. 호몰로지와 코호몰로지
호몰로지와 코호몰로지는 일련의 공리를 만족하는 아벨 군들이다. 호몰로지는 위상 공간이나 군과 같은 수학적 대상에 아벨 군 또는 가군의 열을 연관시키는 방법이다.[2] 코호몰로지는 호몰로지의 쌍대 개념으로, 코체인 복합체로부터 정의되는 아벨 군의 열이다.대수적 위상수학에서, (코)호몰로지는 위상 공간 속에 존재하는 고차원 "구멍"들을 나타낸다. 코호몰로지는 호몰로지보다 더 세련된 대수적 구조를 제공한다. 대수적 위상수학에서는 특이 호몰로지, 체흐 코호몰로지, 드 람 코호몰로지 등을 주로 사용한다.
조르주 드 람은 다양한 유형의 코호몰로지를 연구한 최초의 수학자 중 한 명이다. 매끄러운 다양체의 미분 구조는 드 람 코호몰로지, 체흐 또는 층 코호몰로지를 통해 문제의 다양체에서 정의된 미분 방정식의 해의 가용성을 조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드 람은 이러한 모든 접근 방식이 서로 관련되어 있으며, 닫힌 유향 다양체의 경우, 단순 호몰로지를 통해 파생된 베티 수는 드 람 코호몰로지를 통해 파생된 베티 수와 동일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3]
3. 대수적 위상수학의 주요 분야
대수적 위상수학의 주요 연구 분야로는 다양체, 매듭 이론, 복합체 등이 있다.
3. 1. 다양체
유클리드 공간과 유사한 위상 공간이다. 평면, 구, 원환면은 3차원에서 모두 실현될 수 있으며, 클라인 병과 실사영 평면은 3차원에는 매립될 수 없지만 4차원에는 매립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수적 위상수학의 결과는 다양체의 전역적이고 미분 불가능한 측면에 초점을 맞춘다. 푸앵카레 쌍대성이 그 예이다.3. 2. 매듭 이론
'''매듭 이론'''은 수학적 매듭에 대한 연구이다. 신발끈이나 밧줄 등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매듭에서 영감을 받았지만, 수학적 매듭은 양 끝이 연결되어 풀 수 없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정확한 수학적 언어로 표현하면, 매듭은 3차원 유클리드 공간 에 원을 매장하는 것이다. 두 수학적 매듭은 을 자체적으로 변형(주위 등위라고 함)시켜 서로 변환할 수 있으면 동치이다. 이러한 변환은 끈을 자르거나 끈이 스스로 통과하지 않도록 하는 매듭 끈 조작에 해당한다.3. 3. 복합체
'''단순 복합체'''는 점, 선분, 삼각형 및 이들의 ''n''차원 대응물을 "접착"하여 구성하는 특정 종류의 위상 공간이다. 단순 복합체는 현대 단순 호모토피 이론에 등장하는 더 추상적인 개념인 단순 집합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 단순 복합체의 순수하게 조합론적인 대응물은 추상 단순 복합체이다.
'''CW 복합체'''는 J. H. C. 화이트헤드가 호모토피 이론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도입한 위상 공간의 유형이다. 이 공간 클래스는 단순 복합체보다 더 광범위하며 더 나은 범주론적 속성을 가지고 있지만, (종종 훨씬 작은 복합체로) 계산을 가능하게 하는 조합론적 특성을 유지한다.
4. 대수적 위상수학의 방법론
과거 조합적 위상수학이라고 불렸던 대수적 위상수학은 공간을 더 간단한 공간(예: CW 복합체)으로 분해하여 구성하는 방식으로 연구되었다.[2] 현대에는 위상 공간을 대수적 군과 연관시켜 연구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며,[3] 공간의 동형 사상(또는 호모토피) 관계를 보존하는 군과의 대응 관계를 찾는다. 이를 위해 기본군 또는 호모토피 이론, 호몰로지 및 코호몰로지 군 등을 활용한다.
5. 범주론적 관점
대수적 위상수학의 많은 구성은 범주론적 관점에서 함자적이다. 범주, 함자, 자연 변환 등의 개념은 대수적 위상수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본군, 호몰로지, 코호몰로지 군은 위상 공간의 불변량일 뿐만 아니라, 연속 사상은 군 준동형을 유도하며, 이를 통해 사상의 존재성 등을 증명할 수 있다.
조르주 드 람은 다양한 코호몰로지를 연구한 초기 수학자 중 한 명이다. 그는 미분 다양체의 미분 구조가 드 람 코호몰로지, 체흐 코호몰로지, 층 코호몰로지 등을 통해 해당 다양체에서 정의된 미분 방정식 해의 가용성을 조사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닫힌 유향 다양체의 경우, 단순 호몰로지에서 유도된 베티 수와 드 람 코호몰로지에서 유도된 베티 수가 동일하다는 것을 증명했다.
이후 새뮤얼 에일렌버그와 노먼 스틴로드는 이러한 접근 방식을 일반화하여 호몰로지와 코호몰로지를 자연 변환을 갖춘 함자로 정의하고, 특정 공리들을 만족하는지 확인했다. 그들은 기존의 모든 (코)호몰로지 이론이 이러한 공리를 만족하며, 그러한 공리화가 이론을 고유하게 특징짓는다는 것을 증명했다.
6. 주요 정리
- 고정점 정리
- * 보르수크-울람 정리
- * 브라우어르 고정점 정리
- * 렙셰츠 고정점 정리
- 호몰로지와 코호몰로지
- * 푸앵카레 쌍대성
- * 퀴네트 정리
- * 마이어-피토리스 열
- * 브라운 표현 정리
- 기본군과 호모토피 군
- * 자이페르트-판 캄펀 정리
- * 화이트헤드 정리
- * 후레비치 정리
7. 주요 응용
- 브라우어 고정점 정리: 단위 n-원반에서 자기 자신으로의 모든 연속 함수는 고정점을 갖는다.
- 단순 복합체의 n차 호몰로지군의 자유 계수는 n차 베티 수이며, 이를 통해 오일러-푸앵카레 지표를 계산할 수 있다.
- 미분 가능 다양체의 드람 코호몰로지, 또는 체흐 코호몰로지 또는 층 코호몰로지를 통해 미분 가능 다양체의 미분 구조를 사용하여 문제의 다양체에서 정의된 미분 방정식의 가해성을 조사할 수 있다.
- 다양체의 최고차원 적분 호몰로지군이 정수이면 가향 가능하고, 0이면 비가향 가능합니다.
- n-구는 n이 홀수일 경우에만 0이 아닌 연속 단위 벡터장을 허용한다. (n = 2의 경우, 이것은 때때로 "털 공 정리"라고 불린다.)
- 보르수크-울람 정리: n-구에서 유클리드 n-공간으로의 모든 연속 사상은 적어도 하나의 대척점을 식별한다.
- 자유군의 모든 부분군은 자유군이다. 이 결과는 매우 흥미로운데, 그 이유는 이 명제가 순수하게 대수적이지만 가장 간단한 알려진 증명이 위상적이기 때문이다. 즉, 모든 자유군 G는 그래프 X의 기본군으로 실현될 수 있다. 덮개 공간에 대한 주요 정리는 G의 모든 부분군 H가 X의 일부 덮개 공간 Y의 기본군임을 알려준다. 그러나 그러한 모든 Y는 다시 그래프이다. 따라서 기본군 H는 자유군이다. 반면에 이러한 유형의 응용은 군로이드의 덮개 사상을 사용하여 더욱 간단하게 처리되며, 이 기술은 대수적 위상수학의 방법으로는 아직 증명되지 않은 부분군 정리를 산출했다.[1]
- 위상 조합론.
8. 주요 대수적 위상수학자
- 알렉산더 그로텐디크
- 세르게이 노비코프
- 에미 뇌터
- 장 르레
- 손더스 매클레인
- 존 밀너
- 아르망 보렐
- 라위트전 브라우어르
- 장피에르 세르
- 데니스 설리번
- 스티븐 스메일
- 사무엘 에일렌베르크
- 그리고리 페렐만
- 레프 폰트랴긴
- 앙리 카르탕
- 에흐베르튀스 판 캄펀
- 르네 톰
- 레오폴트 피토리스(Leopold Vietorisde)
- 하인츠 호프
- 해슬러 휘트니
- 프리드리히 히르체브루흐
- 프랭크 아담스
- 마이클 아티야
- 엔리코 베티
- 카롤 보르수크
- 라울 보트
- 윌리엄 브라우더
- 로널드 브라운
- 천싱선
- 알브레히트 돌드
- 샤를 에르스만
- 한스 프로이덴탈
- 피터 프레이드
- 피에르 가브리엘
- 이스라엘 겔판트
- 앨런 해처
- 마이클 J. 홉킨스
- 비톨트 후레비츠
- 다니엘 칸
- 헤르만 횬네트
- 루스 로렌스
- 솔로몬 레프셰츠
- 마크 마호왈드
- J. 피터 메이
- 배리 매저
- 존 콜먼 무어
- 잭 모라바
- 조지프 나이젠도퍼
- 미하일 포스트니코프
- 다니엘 퀼렌
- 이사도어 싱어
- 에드윈 스패니어
- 노먼 스틴로드
- 도다 히로시
- J. H. C. 화이트헤드
- 고든 토마스 와이번
참조
[1]
인용
[2]
서적
Invitation to Combinatorial Topology
https://books.google[...]
Courier Dover Publications
[3]
서적
A Combinatorial Introduction to Topology
https://books.google[...]
Courier Dover Publications
[4]
서적
Blowups, slicings and permutation groups in combinatorial topology
https://books.google[...]
Logos Verlag Berlin GmbH
[5]
학술지
トポロジーとその「応用」の可能性
[6]
인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